쇼니 스케요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쇼니 스케요시는 가마쿠라 시대 무장으로, 다자이후의 책임자였던 무토 씨의 후손이다. 그는 기타큐슈 지역에서 세력을 떨쳤으며, 가마쿠라 막부의 친제이 봉행으로 1268년 몽골의 사신에 대응했다. 1274년 몽골의 제1차 일본 원정 당시 총사령관으로 몽골군을 격퇴했으며, 1281년 제2차 일본 원정에서도 이키섬 전투에 참전하여 몽골군을 물리쳤으나, 전투 중 입은 부상으로 사망했다. 쇼니 스케요시는 84세로 사망했으며, 소후쿠지에서 장례가 치러졌다. 그는 여러 작품에 등장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토씨 - 사나다 마사유키
사나다 마사유키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 다이묘로, 다케다 신겐을 섬기며 이름을 알렸고, 여러 세력을 거치며 뛰어난 지략과 용맹으로 가문을 지켜 '표리비흥의 자'라는 평을 받았으나, 세키가하라 전투 후 몰락하여 고야 산에서 생을 마감했다. - 무토씨 - 무토 스케요리
무토 스케요리는 가마쿠라 시대의 무장으로, 이치노타니 전투에서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에게 투항하여 가신이 되었으며, 오슈 전투에서 공을 세우고 규슈로 파견되어 다자이후의 쇼니, 진제이부교를 역임하고 히젠 등 여러 지역의 슈고를 겸했으며, 쓰시마 해적 행위에 대해 사죄하고 그의 자손들은 쇼니 씨로 번성했다. - 1198년 출생 - 알렉산더 2세 (스코틀랜드)
알렉산더 2세는 1214년부터 1249년까지 스코틀랜드 국왕으로 재위하며 잉글랜드와의 관계를 정립하고 내정을 강화했으며 헤브리디스 제도 원정을 추진하는 등 스코틀랜드의 영토 확장과 국력 증강에 기여했다. - 1198년 출생 - 금 애종
금 애종은 금나라의 제9대 황제로, 몽골 제국의 침략에 맞서 나라를 부흥시키려 했으나 삼봉산 전투 패배 후 채주에서 몽골-남송 연합군에 의해 자결하여 금나라가 멸망하였다. - 1281년 사망 - 차브이 카툰
차브이 카툰은 쿠빌라이 칸의 황후로서 유교와 불교를 융합하고, 원나라의 중국 정복 후 송나라 황실에 관대한 대우를 제안하는 등 정치적, 문화적으로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 1281년 사망 - 에르투룰
에르투룰은 오스만 제국의 건국자인 오스만 1세의 아버지로, 13세기 아나톨리아에서 활동하며 카이 부족을 이끌고 셀주크 투르크를 지원하여 영토를 하사받았으며, 그의 아들 오스만 1세가 오스만 제국을 건국하는 데 기여했다.
쇼니 스케요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씨명 | 쇼니씨 |
이름 | 쇼니 스케요시 |
원어 이름 | 少弐資能 |
별명 | 무토 스케요시 |
법명 | 가쿠에이 |
생애 | |
시대 | 가마쿠라 시대 전기 - 중기 |
출생 | 겐큐(建久) 9년 (1198년) |
사망 | 고안(弘安) 4년 윤7월 13일 (양력 1281년 8월 28일) |
묘소 | 알 수 없음 |
관직 | |
관위 | 다자이노쇼니 |
가계 | |
아버지 | 무토 스케요리 |
형제 | 스케요시 무토 요리시게 무토 다메요리 무토 요리모토 |
자녀 | 쇼니 쓰네스케 쇼니 가게스케 쇼니 모리스케 쇼니 무네스케? |
정치 활동 | |
막부 | 가마쿠라 막부 |
주군 | 후지와라노 요리쓰네 후지와라노 요리쓰구 무네타카 친왕 고레야스 친왕 |
2. 약력
1242년 엔니(쇼이치 고쿠시)가 하카타에 쇼텐지[5]를 열 때, 스케요시는 절 터 수만 평을 기증했다. 노령에도 불구하고 몽골 침공 당시 방어 일선에서 총사령관으로 참전하여 몽골의 공격을 저지하고 격퇴하는데 성공하였다. 1281년 제2차 일본 원정(고안의 역)에서도 고령으로 출진, 손자 스케토키와 함께 이키섬 전투에 참전하여 몽골군에 맞서 싸웠고, 이키섬에서 몽골군을 몰아내는 데 성공하였다.[9] 그러나 이 전투에서 스케토키는 전사하였으며, 스케요시 자신도 전투에서 입은 부상이 원인이 되어 사망하였다.
2. 1. 가문 및 초기 활동
무토 씨는 다자이후(大宰府)의 책임자로써 다자이노쇼니(大宰少弐) 지위에 있었기 때문에, 스케요시 대부터 쇼니(少弐)를 성씨로 사용하게 되었다고 한다.스케요시는 기타큐슈(北九州)에 큰 세력을 가지고 가마쿠라 막부의 친제이 봉행으로서 분에이(文永) 5년 몽골의 사신에 대한 대응도 맡았다.[8] 제1차 일본 원정(일본명 분에이의 역文永の役) 직전에 출가하여 가쿠에이(覚恵)라는 법명을 사용하였으며, 가독을 장남 쓰네스케(経資)에게 넘겨주었다.
2. 2. 몽골의 사신 대응
스케요시는 기타큐슈(北九州)에 큰 세력을 가지고 가마쿠라 막부의 진제이부교(鎮西奉行)로써 분에이(文永) 5년(1268년) 원의 사신 대응을 맡았다.[8][2]2. 3. 제1차 일본 원정 (분에이의 역)
1268년 몽골의 사자에 대한 대응을 맡았다.[8] 고려-원 연합군에 의한 제1차 일본 원정(일본명 분에이의 역) 직전에 출가하여 가쿠에이(覚恵)라는 법명을 사용하였으며, 가독을 장남 쓰네스케에게 넘겨주었다. 노령의 나이에도 불구하고 몽골 침공 당시 방어 일선에서 총사령관으로써 참전하여 몽골의 공격을 저지시키고 격퇴하는데 성공하였다.2. 4. 제2차 일본 원정 (고안의 역)
1281년 제2차 일본 원정(고안의 역)에서 쇼니 스케요시는 고령에도 불구하고 출진, 손자 스케토키와 함께 이키섬 전투에 참전하여 원나라 군에 맞서 싸웠고, 이키섬에서 원군을 몰아내는 데 성공하였다.[9] 그러나 이 전투에서 스케토키는 19세의 나이로 전사하였고, 스케요시 자신도 전투에서 입은 부상으로 사망하였다. 향년 84세였다.[3]2. 5. 사후
1281년 고안의 역 당시, 쇼니 스케요시는 고령임에도 출진하여 손자 스케토키와 함께 이키섬 전투에서 몽골군에 맞서 싸웠고, 이키섬에서 몽골군을 몰아내는 데 성공하였다.[9] 그러나 이 전투에서 스케토키는 19세의 나이로 전사하였고, 스케요시 자신도 전투 중 부상으로 사망하였다. 향년 84세였다. 난포 조묘[4]가 다자이후 요코다케 소후쿠지에서 장례를 주관하였다.다자이후시 간제온지 북쪽의 간제온지 49자원 터[6] 중 하나로 전해지는 안요지 터 한쪽에는 무토 스케요리의 묘로 추정되는 고륜탑과 쇼니 스케요시의 공양탑(보협인탑)이 나란히 세워져 있다.
3. 등장 작품
참조
[1]
서적
尊卑分脈
[2]
서적
史料綜覧
[3]
서적
史料綜覧
[4]
서적
武藤少弐興亡史
海鳥社
1989
[5]
서적
武藤少弐興亡史
海鳥社
1989
[6]
웹사이트
西都 大宰府
https://www.kyuhaku.[...]
[7]
서적
尊卑分脈
[8]
서적
史料綜覧
[9]
서적
史料綜覧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